분류 전체보기120 부동산 예측을 위한 자금 흐름을 체크 하는 법 “ 돈의 흐름을 보려면 주식의 고객 예탁금도 가끔 체크 해보자 ” 시중에 풀린 돈의 총량은 이 순간을 멈춰 보면 유한하다. 그리고 별 일이 없다면 몇 달간은 비슷할 것이다. 그런 가정하에서 보면 주식시장에 들어오는 돈은 주택 시장에 들어오는 돈 대비 파악하기 쉽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자신의 예금을 해지하고 대출을 더해서 집을 샀다는 것은 실거래 신고일 이후 한 달이 될 때까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리고 그 돈의 총량은 더 더욱 알 수 없고, 어떤 경로로 자금을 조달했는지 추정할 뿐이다. 하지만 주식시장은 그렇지 않다. 금액도 알 수 있지만 매일 그 흐름도 알 수 있다. ※ 이 글을 오해하지 않았으면 한다. 주식 시장을 공부해서 주식에 투자하라는 뜻이 아니다. 주식은 부동산보다 변동성이 크며 위험.. 2024. 1. 5. 단기투자에 유용한 심리지수 찾는 법 “ 단기간에는 소비자 심리지수 변화를 잘 살펴야 한다 ” 한국 소비자 심리지수 소비자 심리지수란, 우리나라 가계 부문의 현재 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 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 경기판단, 향후 경기전망 등 6개의 주요 개별지수를 표준화한 지수이다. (네이버 주석 참고) 이 지수는 네이버에서 쉽게 검색할 수 있고, 원 데이터는 통계청에 있다. 아래와 같이 22년 6월부터 하락하여 바닥을 다져오다가 22년 12월부터 반등하고 있다. 신기하게도 이 지수는 아파트 가격 지수와도 유사하다. 또한 소비자의 심리는 금리, 경기 싸이클과도 밀접하니 이 지표를 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로, 이 글은 모두 23년 1~3월 발간된 책의 일부분임을 참조 바랍니다.) 이 지표가 이렇게 간단한 검색으로도 나오.. 2024. 1. 4. 주택구입 부담지수(HAI), 주택구입 잠재력지수(HOI), 소득대비 주택 가격(PIR) 보고 이해하는 법 “ 금리 변동이 심할때는 HAI(주택구매력지수)를 참고해야 한다 ” 살면서 아래와 비슷한 기사를 종종 보았을 것이다. 이 기사의 본문을 보면 이런 글이 나온다. “평범한 직장인은 36년 간 한 푼도 쓰지 않고 급여를 모아야 서울에 아파트를 장만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004년에 비해 기간이 두 배 늘어난 결과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9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2004년 이후 서울 주요 아파트 시세변동 분석결과’ 기자회견을 열었다. 경실련은 KB부동산 시세정보 등을 활용해 지난 18년간 서울 아파트 시세 변동을 분석한 결과, 30평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이 9억4000만원 상승했다고 밝혔다. 2004년 3억4000만원이던 아파트 가격이 올해 4배 가까운 12억8000만원이.. 2024. 1. 3. 청약 경쟁률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 (매수 심리 지표) * 본 내용은 2023년 3월 발간된 책의 일부임. “ 청약 경쟁률과 매수 심리는 어느 정도 관계가 있을까? ”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아파트 청약이란, 새 아파트를 저렴하게 사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그런 인식 때문인지 많은 사람들이 청약 가점을 높이기 위하여 무주택자로 견디면서 장기간 돈을 모은 후 한 번의 청약으로 좋은 아파트를 사고 싶은 로망을 가지고 있는 듯싶다. 아래는 온라인으로 아파트 청약을 하는 ‘청약홈’에 나오는 청약가점 계산기이다. (복잡하다 보니 점수 계산기까지 있다) 청약 가점 계산기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히 살펴보면, 청약 통장을 1) 오래 가입할수록 유리하고, 2)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부모를 모실수록 더!) 그리고 3) 무주택 기간이 길수록 유리하다. 상세한 것은 복잡하여 생략할.. 2024. 1. 2. 지역 내 20ㆍ30의 아파트 매수세를 알아내는 법 “ 20대~30대의 아파트 매수 열기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 ” 혹시 신문에서 ‘영끌족’이라고 들어 본 적이 있는지 모르겠다. 영끌족이란 영혼까지 끌어서 매수했다는 뜻인데, 주로 부동산 투자에 쓰이는 용어이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자신이 감당 가능한 돈에 맞춰서 아파트를 매수하면 되는데, 갑자기 너무 상승하니 상대적 박탈감이 들어 뒤늦게 매수를 하려다 보니, 정부의 규제까지 겹겹이 막혀서 매수가 어려워진 것이다. 살고 싶은 동네의 아파트가 6억이라고 가정하면, 3억은 주택 담보 대출, 1억은 신용 대출, 1억은 부모님께 빌린 후 자기돈 1억을 더해서 매수 한 것이다. 이럴 경우 대출 금리가 급히 상승하거나 주택가격이 갑자기 하락하면 심리적으로 크게 동요하게 된다. 특히, 뒤늦게 매수 행렬에 뛰어들었다.. 2024. 1. 1. 부동산 현장 분위기 파악 하는 법 *2023년 3월에 발매한 책의 일부이며 데이터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용도임. “ 현장 동향과 분위기 파악 ” 각종 부동산 사이트, 앱 및 카톡 단톡방, 부동산 카페 등으로 인해 매도, 매수의 속도가 무척 빨라졌다. 요즘은 2주 이상 데이터를 분석 및 확인한 후 현장에 갔을 때면 이미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오죽하면 부동산 중개 사무소장님들이 매수자에게 주로 하는 말이 있다. “아이고 사장님, 2주만 더 일찍 오시지~” 이 말을 들으면 일단 최소 한발 늦었다고 판단을 하는게 현명하다. 이 책이 나올 시점에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하지만 2023년 2월 즈음에는 이미 여러 단톡방에서 이런 소리가 들린다. 나의 경우는 수십 개의 단톡방과 부동산 블로거, 메이저 부동산 카페, 지역 카페 및 유.. 2023. 12. 31.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