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부동산 인사이트

부자와 일반 직장인의 노후 생활비 알아보기

by Richone 2024. 2. 7.

책 부자보고서(하나금융연구소)의 내용 이어갑니다.

/ unsplash

부자가 생각하는 노후자금

 

- 초고령 사회 (기준은 인구 20%가 65세 이상) 진입을 앞두고 있다. 모두가 걱정하는 은퇴 이후의 생활 자금은 얼마나 될까? 2021년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가 부자와 대중부유층 (금융자산 1억~10억 미만)의 노후 생활을 조사해 보니 부자는 가구당 804만원, 대충 부유층은 420만원 정도가 필요할 것이라 예상했다.

 

- 하나은행에서 2020년에 50세 이상 퇴직자 1천명을 대상으로 설명조사를 해 보니, 이 중에 노후 자금이 충분하다고 스스로 언급한 사람인 '금(Gold)퇴족' 의 월 생활비 지출은 308만원 이었다. 위와 아래를 비교해 보면 부자와 대중 부유층은 현재의 생활 패턴을 유지하기 위해서 '금퇴족'보다 더 많은 생활비 지출을 예상하고 있다.

 

:: 위 글에서 804만원, 420만원이 좀 크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아래 글을 보니, 질문이 조금 달랐을 것 같이 예측된다. 아마도 현재의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얼마가 필요하냐고 했을 때 대중 부유층이 420만원, 그 아래 금퇴족이라고 나름 잘 준비된 사람이 생각한 것이 308만원인 것이다. 그러면 약 110만원 정도 차이가 나는데, 이는 그 만큼 현재생활 유지 (420만원)와 현실적으로 준비한 것 (308만원) 사이에 괴리가 생길 것이라는 말로 추측된다.

 

- 부자가 현재 지출하는 생활비는 약 1,100만원이다. 은퇴 후 예상 생활비와 비교해 보면 부자도 은퇴 후 기존 생활비의 27%를 줄여야 한다는 말이된다. 

 

부자는 어디에서 생활비를 감당할까

 

- 부자는 노후 생활비의 많은 부분을 예적금, 보험으로 감당한다. 또한 연금으로도 충당한다. 부자의 예상 연금 수령액은 314만원으로, 은퇴 후 필요 생활비의 약 39% 수준이다. 부자가 노후 생활비로 예적금을 생각하는 비중은 최근에 크게 증가했다. 이는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본인의 자산 포트에서 가장 확실한 예적금 및 보험이 안전자산이라는 판단에서 기인 했으리라. 반면 공적 연금을 생활비로 활용하려는 인식은 2년 사이 확연히 줄었다.

 

- 대중부유층도 마찬가지다. 연금 수령액은 월 184만원으로 은퇴 후 필요 생활비 420만원의 약 44% 수준이다. 대중 부유층도 노후 생활비에서 예적금과 보험을 높은 비중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이 비중이 최근에 점차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제 4장 떠오르는 부자, 영리치 & 슈피리치

 

새로운 부자의 탄생

 

카카오톡

 

2009년 포브스가 발표한 대한민국 부자 순위는 최근 들어 많이 바뀌었다. 2022년 카카오 대표 김범수는 국내 최고 자산가 반열에 올랐다. 그 해 96억 달러의 자산 가치로 대한민국 최고 부자가 되었다. 당시 카카오는 시가총액 5위까지 올라갔다. 김범수는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으로 시작하여 다양한 비지니스로 확장, 빅테크의 성장을 주도했다.

 

스마일게이트

 

2022년 5위에 이름을 올리고, 23년에는 4위라는 기염을 토한 권혁빈은 자수성가한 사례다. 1인칭 슈팅게임 (FPS) '크로스파이어(Cross Fire)'의 대성공으로 일약 게임업계의 신화가 된 그는 2015년부터 부자 순위로 진입했다 (7위). 28세 나이에 자본금 1억원으로 스마일게이트를 창업, 자금난과 치열한 경쟁속에서 해외 시장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성공했다.

 

이 밖에도 포브스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50대 부자는 더 있다. 라이온하트 스튜디오 대표 김재영(21위), 야놀자 대표 이수진(26위), 케어젠 대표 정용지 (30위),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대표 이승건 (43위)도 포함된다. 

 

이들은 4차 산업혁명 시기, 시류를 잘 읽고 재능을 발휘하여 스타트업을 유니콘으로 이끈 주역으로 부자의 지형을 바꾸는데 이바지했다. 이들의 공통점은 얼핏 없어 보이지만, 재벌 출신이 아닌 새로운 분야에서 성공한 경영자라는 것이다. 이들의 성공은 청년층에게 이 시대의 부는 대물림에 의해서만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열정과 노력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다음은 영리치에 대해 알아보겠다. To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