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부동산 인사이트

영리치, 그들은 누구이고 얼마나 벌고 있나

by Richone 2024. 2. 8.

아직도 많은 학부모님들이 자녀를 의사, 변호사로 키우기 위해 열정을 불태우고 있다. 최소한 우리세대에는 그게 들어맞았다. 나의 친구들 중 의사, 변호사가 된 사람 중에 금전적으로 불행한 사람은 거의 없다. 최소한 공부라도 열심히 했다면, 그 공부머리를 이용해 어떤식으로든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다.

 

하지만, 나는 세상이 룰이 바뀌었다고 믿고 있다.

 

 

그 이유를 조금 과장해서 설명해 보겠다.

 

1980년대에 고등학교 한반에 평균 약 60명 정도 되었다고 생각해 보자. 그 반의 1등 그룹은 좋은 의과대학으로 진학하여 대형병원 원장이 되었고, 그 반의 중간은 중소 기업에서 일하거나 퇴직 후 소일거리를 하고 있다. 꼴지 중 돌연변이는 사업을 해서 1등보다 더 많은 돈을 벌고 있고 꼴지 중 99%는 경제적으로 힘든 삶을 살고 있다.

 

쉽고 단편적으로 말하자면 학력 혹은 학습능력이 지위와 부를 고착화 시킨 사회였다. 룰이 잘 안바뀌었다고 할까?

 

2024년 지금은 어떤가?

 

잘 나가는 유투버는 병원원장보다 훨씬 많은 소득을 올리고 있다. 해외로 진출한 축구 선수는 글로벌 스타가 되었고 중소기업의 순이익보다 더 많이 벌고 명성도 얻었다. 맨날 잠만 자고 공부를 안하던 어떤 스무살은 갑자기 몇년간 깨치더니만 코인으로 몇 백억 부자가 되어 강남 건물을 매입했다. 어떤가?

 

이것 역시 쉽고 단편적으로 말하자면 1980년대 부의 공식이 깨진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이건 모두가 느끼고 있는 바일 것이다. 아마 그래서 더 자녀 교육도 고민스러울 것이다. 

 

도서 - 대한민국 부자보고서에서는 영리치에 대한 내용도 나온다. 과연 나와 독자님의 생각이 맞는지 객관적으로 검증한 데이터를 한번 살펴보고 우리 뿐 아니라 우리의 자녀들에게도 갈 길을 제시하는 실마리를 잡아보는 시간을 갖자.

 

영리치, 그들은 누구인가?

 

모바일 기반의 혁신 서비스를 출시하거나 유투버 등 크리에이터가 되어 고소득을 올리고, 주식과 가상화폐 투자로 단기간 부를 축척한 영리치는 실제 누구이며, 어떻게 자산을 형성했을까, 그들은 어떻게 자산관리를 할까.

 

금융자산 10억 이상을 보유한 부자 가운데, 20~40대 영리치의 평균 총 자산은 67억원이다 (2022년기준). 이 중 부동산이 약 33억으로 총자산의 48%인 반면, 올드리치 (50대 이상)는 총 자산 73억원이며 이 중 부동산 비중이 57%로 상대적으로 높다.

 

영리치의 자산 형성 원천

 

영리치가 현재의 부를 이뤄낸 과정 중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준 원천은 놀랍게도 1순위가 근로소득이다. 영리치 45% 중 근로소득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형성한 주요 원천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사업소득 (23%), 상속 및 증여 (18%), 재산소득 (15%) 순이다. [아마도 원천이 근로소득이 1위이지, 그 돈을 대폭 불린 것은 투자나 사업 등 다른 영역일 것 같다. 근로소득만으로 부자가 되었다는 오해를 하는 독자는 없을 것 같지만. ]

 

물론, 보유 자산의 규모에 따라 이건 차이가 있긴 하다. 가족으로부터 상속 및 증여를 받은 영리치의 총자산은 평균 128억으로 가장 많았다. 사업소득 기반 영리치는 평균 자산이 70억, 재산소득으로 자산을 모은 영리치는 67억, 근로소득이 주요 원천인 영리치는 평균자산 39억원 이었다. 당연할 수 있지만, 상속이나 증여로 부를 형성한 영리치의 부동산 비중은 총 자산 중 70%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영리치는 어디에 살까

 

영리치의 연소득 중 75%는 근로, 사업, 재산, 기타소득 중 2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소득을 창출중이다. '근로소득과 재산소득', '사업소득과 재산소득' 조합이 28%로 가장 높았다. 21년 기준으로 '근로소득 + 재산소득' 을 보유한 영리치는 연평균 약 4.5억, '사업소득 + 재산소득'을 보유한 영리치는 약 4.8억을 벌었다. 이렇듯 영리치는 근로소득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패시브 인컴(배당소득처럼 최소한 노동으로 얻는 소득)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조기에 경제적 자립에 이르렀다.

 

영리치가 살고 있는 곳을 조사해 보니 강남 3구 비율이 37%로 가장 높다. 강남  3구 다음으로 영리치가 많이 살고 있는 곳은 테크기업이 밀집한 경기도로 21%이다. 직업분포를 보면 영리치는 회사원이 31%로 가장 많고, 의료, 법조계 전문직이 21%, 자영업자 15%,  경영자와 기업체 임원이 각각 11%, 10%였다.

 

- 여기서 배울 수 있는 점을 요약해 보자면, 일단 순자산이 35억 이상은 되어야 부자라 할 수 있다는 것과 머니 파이프라인을 구축해서 년 소득 약 4.5억 (월 4천만원 정도) 되어야 부자 반열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조차 영리치일때 얘기이고 아마도 올드리치로 가면 더 높은 가이드라인이 기다릴 것이다. 

- 이렇게 부자인 사람들도 회사에 다니며 근로소득과 패시브 인컴을 만들려고 노력하면서 동시에 재산소득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을 것이다. 다른 것들은 여러 복잡성이 있으나, 최소한 하나는 확실한 듯 보인다.

 

 

이렇게 살펴보니, 부지런 하다고 다 부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게으른 부자는 찾기 힘들것 같다.

부자가 되기위해서는 부지런함은 디폴트인 것이다.

 

* 하나금융연구소에서 발간된 책 대한민국 부자보고서의 일부분임